#기도수첩
2025년 5월 06일 화요일
예수님의 전도 계획 – 분여와 지속적인 점검
요한복음 20:21-22, 마가복음 8:17-21 / 예수께서 또 이르시되 너희에게 평강이 있을지어다 아버지께서 나를 보내신 것 같이 나도 너희를 보내노라 (요 20:21)
♬ 찬송가 401장 주의 곁에 있을 때 (통일 457)
[문서 보기]
https://share.evernote.com/note/756bbc9c-e454-9845-f49b-b6ece2454b58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QmPmtNCQOvU?si=5eGRdjv69snFhzXF
1. 분여
신앙생활을 시작할 때 새신자들이 먼저 확신할 것이 있습니다. 예수께서 보혜사 성령이 모든 성도와 함께하실 것을 약속하셨습니다.(요 14:6, 14:26, 16:13)) 그것이 분여입니다. 이것을 안다면 문제가 왔을 때 기도하게 됩니다. 두 번째는 누림과 기다림, 도전입니다. 누림은 7망대와 7여정, 7이정표가 편집되는 것입니다. 기다림은 하나님 나라의 일을 기다리는 것입니다. 그러면 7‧7‧7이 설계됩니다. 도전은 하나님이 주신 7‧7‧7이 디자인될 때 하는 것입니다. 이러면 개인의 업과 교회, 가정이 살아납니다. 그래서 우리를 그리스도의 대사로 부르신 것입니다. 예수께서 하신 말씀에는 분여의 의미가 담겨있습니다.(요 14:16, 14:26, 20:22, 요일 2:20-27, 마 28:20) 그리고 승천 후 보혜사 성령을 통해 모든 성도와 영원히 함께하실 것을 약속하셨습니다.(요 16:7, 16:15) 그 결과 우리가 현장에 갔을 때나 어려움을 당했을 때 하나님이 주시는 평안 가운데 있게 됩니다. 그리고 구별된 자가 되어 천국열쇠를 소유하게 됩니다. 이 비밀을 구체적으로 누린 것이 초대교회였습니다.(요 16:4, 마 16:19, 요 17:18-19)
2. 지속적인 점검
전도를 지속하려면 절대 망대를 세워야 합니다. 그것은 하나님의 확실한 미션을 붙잡는 것입니다. 바울에게 절대 망대가 전달되는 순간부터 절대 계획이 보였습니다. 출애굽과 출블레셋, 출아람, 출바벨론, 출로마는 하나님의 절대 계획이었습니다. 절대 계획을 보면 절대 언약은 따라옵니다. 모세와(출 3:18-20) 사무엘,(삼상 16:1-13) 엘리사,(왕하 2:9-11) 다니엘,(단 1:8-9) 바울은(행 19:21, 23:11, 27:24) 절대 언약을 잡고 전달했습니다. 이때부터 절대 여정을(마 16:16, 요 19:30, 행 1:3, 2:1-47, 11:19, 13:1-4, 행 16:4-10, 19:21) 가게 되었고, 절대 목표가 따라왔습니다. 하나님께서 모든 것과 모든 사람을 살리게 하신 것입니다. 예수께서는 제자들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점검하셨습니다. 성공했을 때,(눅 10:17-18, 20) 실패했을 때,(막 9:17-29) 불신앙에 잡힐 때,(마 16:8-11) 또 잘못된 확신을 가질 때 점검하셨습니다.(눅 9:49-50) 충동적인 분노에 대해서는 책망하셨고,(눅 9:51-56) 부활하신 후에는 보혜사 성령께서 우리와 함께할 것이라고 하셨습니다. 이것을 누리고 전달하면 영원한 증인이 됩니다.
[언약 기도]
하나님께 감사드립니다. 보혜사 성령께서 우리와 항상 함께하시며 모든 것을 가르치고 깨닫게 하시니 감사합니다. 절대 언약과 절대 여정을 통해 하나님의 계획을 온전히 따르며, 주어진 사명을 감당하게 하소서. 삶 속에서 하나님의 나라를 누리고 기다리며, 모든 사람을 살리는 증인의 삶을 살게 하옵소서. 예수 그리스도 이름으로 기도하옵나이다. 아멘.
[성구암송] 사도행전 10:38
[성경읽기] 열왕기하 21:1-26
2024.03.05. 237새가족현장사역자훈련 2강(뇌에기가팍팍)
'이것이 힘이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렘넌트(TCK)와 빛의 캠프(노인건강관리서비스) (1) | 2025.05.08 |
---|---|
재생산(노인건강관리서비스) (1) | 2025.05.07 |
순종과 대임(노인건강관리서비스) (0) | 2025.05.05 |
복음만 말하라(노인건강관리서비스) (3) | 2025.05.03 |
세계 교회를 재앙에서 건져 내라(노인건강관리서비스) (4) | 2025.05.02 |